반응형 우리말 유래1 재미있는 우리말 유래(由來) 10가지 재미있는 우리말 유래(由來) 10가지 1. 어처구니 첫째: 궁궐의 전각이나 남대문 같은 문루의 기와지붕 위에 사람이나 갖가지 기묘한 동물들의 모양을 한 토우(土偶: 흙으로 만든 인형)들이 있는데 이를 "어처구니"라고 합니다."어처구니없다"라는 말의 유래는 궁궐, 또는 성문을 짓는 와장(瓦匠)들이 지붕의 마무리 일로 어처구니를 올리는데,이걸 실수로 잊어버리는 경우 "어처구니없다"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. 둘째: 어처구니는 맷돌의 손잡이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입니다.그 무거운 돌 두 짝을 포개어 놓고 한쪽 방향으로 돌려야 하는데, 손잡이가 없으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겠네요. 2. 시치미 전혀 모르는 일인 양 딴 청을 피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로,시치미는 사냥에 쓰려고 길들인 매의 꽁지 깃털에 매달아 놓은 마름 .. 2024. 6. 4. 이전 1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