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좋은글귀

한국어 어원의 숨겨진 이야기: 수저, 씨름, 보신탕, 김치, 설겆이의 역사와 문화 탐구

by 렌즈의향기 2024. 11. 16.
반응형

우리말의 재미있는 어원을 통해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해봅니다. 수저, 씨름, 보신탕, 김치, 설겆이 등 일상적인 단어들의 숨겨진 이야기를 알아보겠습니다.

[우리말에서 자주 찾는 흥미로운 어원 TOP 5]

 

목차

     

    수저

    1. 수저(숫가락과 젓가락)의 어원

    수저는 '숫가락'과 '젓가락'이 축약된 합성어입니다. '숫가락'의 경우 원래는 '수팃가락'이었는데, 여기서 'ㄹ'받침이 탈락하고 'ㅅ'받침만 남아 '숫가락'이 되었습니다.

    "수팃가락은 '큰 가락'이라는 의미로, 크기를 나타내는 접두사 '수-'와 '가락'의 결합입니다." - 국립국어원

     

    관련 사례들:

    • 수탉 → 수닭 (수컷 닭)
    • 수나무 → 수목 (큰 나무)
    • 수뿌리 → 수근 (큰 뿌리)

    씨름

    2. 씨름의 변천사

    '씨름'은 옛말 '힐후다'에서 유래했습니다. 이 단어는 다음과 같은 변화 과정을 거쳤습니다:

    힐후다 → 실우다 → 씨름

     

    고문헌에 나타난 씨름 관련 기록

    • 훈민정음 해례본 (1446): "힐후다" 표기
    • 동국신속삼강행실도 (1617): "실우다" 사용
    • 한청문감 (1774): "씨름" 최초 등장

    보신탕

    3. 보신탕의 현대적 변화

    '보신탕'이라는 단어는 1950년대 이승만 정권 시절에 만들어진 단어입니다.

     

    시대별 명칭 변화:

    • 조선시대: 개장국, 개장
    • 1950년대: 보신탕 (補身湯) 등장
    • 현대: 영양탕, 사철탕 등 다양한 명칭
    "보신탕이라는 명칭은 '몸을 보하는 탕'이라는 의미로, 한자어를 활용한 완곡어법의 대표적 사례입니다." - 한국음식문화사전

     

    김치,짠지

    4. 김치와 짠지의 어원 차이

    김치(沈菜)의 어원:

    • 침채(沈菜) → 딤채 → 김치
    • 한자 '침(沈)'은 '담그다'의 의미
    • '채(菜)'는 '채소'를 뜻함

    짠지의 어원:

    • 짜다(鹹) + -이 → 짠지
    • 순우리말 '짜다'에서 파생
    • 지역별 변형:
      • 경상도: 짱아치
      • 전라도: 짠디
      • 충청도: 짠지

    설거지

    5. 설겆이의 어원

    '설겆이'는 그릇을 씻는 행위를 나타내는 순우리말입니다.

     

    어원 분석:

    설다(洗) + 겆다(씻다) + -이 → 설겆이

     

    지역별 변형:

    • 서울: 설거지
    • 경상도: 설게미
    • 전라도: 설겡이
    • 제주도: 설궝이
    1.  

     

    [참고자료]
    [1] https://namu.wiki/w/%EC%88%9C%EC%9A%B0%EB%A6%AC%EB%A7%90
    [2] https://talkpal.ai/ko/vocabulary/%ED%95%9C%EA%B5%AD%EC%96%B4%EC%9D%98-%EC%96%B4%EC%9B%90-%EC%96%B4%ED%9C%98/
    [3] https://psy1212.tistory.com/16127450

    반응형